부산 지역사랑화폐 동백전 신청방법 & 혜택 🌺💳
부산 시민이라면 일상 결제에 꼭 한 번 써볼 만한 동백전! 소상공인과 전통시장을 응원하면서도 생활비를 아낄 수 있는 부산형 지역화폐입니다. 이 글에서 신청·충전·사용 절차와 캐시백·소득공제 혜택, 사용 가능/제한 업종까지 깔끔하게 정리했습니다.
부산 지역사랑상품권 사이트 바로가기
부산 동백전 앱 : 안드로이드 설치하기
부산 동백전 앱 : 애플 설치하기
지역사랑상품권 공식 사이트 바로가기
동백전 한눈에 보기
- 의미 : 부산의 상징 ‘동백’ + 화폐 ‘전(錢)’을 결합한 부산 지역화폐 이름
- 발행 주체 : 부산광역시
- 유효기간 : 발행일로부터 5년
- 결제 수단 : 동백전 앱 & 체크카드(신용카드 가맹점의 IC 단말기 사용처)
💡 요약 : 앱 가입 → 카드 신청/발급 → 충전 → 가맹점에서 결제. 간단합니다!
신청 방법 (처음 이용자)
- 동백전 앱 회원가입 – 본인 인증 후 계정 생성
- 카드 신청/등록 – 앱 경로: 내 지갑 > 카드 신청
동백전 체크카드는 별도 추가 등록 없이 사용 가능 - 충전 – 앱에서 계좌/카드 연결 후 필요한 금액을 충전
- 사용 – 부산시내 사용 가능 가맹점에서 동백전으로 결제
사용처 안내
✅ 사용할 수 있는 곳
부산광역시 관내 신용카드 가맹점 중 IC 카드 단말기를 사용하는 가맹점 (동백전 가맹점)에서 결제 가능합니다.
❌ 사용이 제한되는 곳
- 대규모 점포 : 대형마트·백화점·복합쇼핑몰·쇼핑센터 등
- 준대규모 점포(SSM) : 롯데슈퍼·홈플러스익스프레스·탑마트 등
- 직영 중심 대형 프랜차이즈 및 타 지역 본사 직영 가맹점(편의점·주유소 등)
※ 부산에 본사를 둔 프랜차이즈·법인은 직영·가맹 관계없이 사용 허용 - 교통/자동차 : 항공·철도·여객선·고속·시외버스, 자동차 구입, 고속도로 통행료
- 사행성/유흥 : 카지노·경마·경륜·사행성게임, 단란주점 등
- 기타 : 온라인 결제, 종합병원, 특급호텔, 복지·공공요금, 인터넷 요금, 학교 공과금, 금융·보험, 일반상품권 등
※ 사용 가능/제한 업종은 부산광역시 정책에 따라 변동될 수 있습니다.
동백전 혜택 🎁
1) 결제 캐시백 & 상생 가맹점 현장 할인
- 결제 시 캐시백 적립(예: 5%) 제공
- 상생 가맹점에서 추가 현장 할인 가능
⚠️ 캐시백 비율·한도·기간은 예산 및 정책에 따라 수시로 바뀝니다. 최신 안내는 동백전 앱 공지에서 확인하세요.
2) 연말정산 소득공제
- 체크카드로 사용 시 : 별도 신청 없이 30% 소득공제
- 충전형 선불카드 : 발급사(코나아이)에 소득공제 신청 필요 – 고객센터 1566-9597
- 전통시장 사용분 : 소득공제 40% 적용
3) 상시 이벤트/프로모션
캐시백 추가 적립, 특정 업종 할인 등 다양한 기획전이 수시로 열립니다. 앱 내 배너·알림을 켜 두면 놓치지 않아요. 🔔
자주 묻는 질문(FAQ)
| 질문 | 답변 |
|---|---|
| 유효기간은 얼마나 되나요? | 발행일로부터 5년입니다. |
| 부산 외 지역에서도 쓸 수 있나요? | 원칙적으로 부산시 관내 가맹점에서만 사용 가능합니다. |
| 온라인 결제도 되나요? | 일반 온라인 가맹점 결제는 제한됩니다. |
| 캐시백 한도는? | 예산·기간·회원별 한도에 따라 달라집니다. 동백전 앱 공지를 확인하세요. |
빠르게 시작하는 법 🏁
- 앱 스토어에서 동백전 앱 설치 → 회원가입
- 앱 내 지갑 > 카드 신청에서 체크카드 신청/발급
- 계좌/카드 연결 후 충전 → 가맹점에서 결제
- 상생 가맹점·이벤트는 앱 배너에서 수시 확인
✅ 포인트 : 전통시장 결제 비중을 높이면 소득공제 40%로 절세 효과가 커집니다. 생활비 쓰는 곳부터 동백전으로 바꿔보세요!
※ 본 글은 이용자를 위한 요약 안내입니다. 세부 조건·제외 업종·혜택은 부산광역시 및 운영사 고시에 따라 변경될 수 있으니, 동백전 앱 공지·고객센터에서 최신 정보를 확인하세요.
